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

전체

2025년 중앙-지방 사회보장제도 사전협의 영남권 설명회 개최

  • 작성일2025-05-20 15:01
  • 조회수1,152
  • 담당자김우석
  • 담당부서사회보장조정과

2025년 중앙-지방 사회보장제도 사전협의 영남권 설명회 개최
- 2025년 5번째 권역별 설명회 개최 -
- 영남권 사회보장 분야 담당자 대상 교육 및 컨설팅 등 현장 소통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5월 20일(화) 14시, 창원컨벤션센터(경상남도 창원시)에서 2025년 중앙-지방 사회보장제도 사전협의 영남권 설명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 (설명회 안건) ① ’25년 사회보장제도 신설·변경 협의 개요 및 지침 개정내용, ② 사전협의 시스템 사용법 및 주요 질의응답, ③ 지방자치단체 협의사례 발표, ④ 사전협의 모니터링 방안 및 협의기준 충족사례 선정 기준 등

  이번 설명회는 지난 4월 29일 실시한 강원권 설명회에 이은 다섯 번째 설명회로서,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고 있는 다수의 사회보장제도가 협력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 담당자와 직접 만나 사회보장 분야의 장기 정책 방향을 구체화하기 위한 세부 협의 방향을 공유하였다. 또한 구체적 사회보장프로그램의 정합성과 제도간 연계를 통한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중앙 및 지자체간 사회보장정책의 사전협의 방향을 조율하고, 사전협의 과정에서 관련 제도와 법령 반영이 미흡한 사업안에 대한 협의조정 사례 설명을 통해 지자체가 사업 기획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사회보장제도 사전협의)「사회보장기본법」제26조에 따라 국가·지방자치단체가 사회보장제도를 신설·변경할 경우 제도의 타당성, 기존제도와의 관계, 전달체계·지역복지 및 재정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보건복지부장관과 협의하여야 함

  보건복지부는 지난해부터 권역별 설명회를 통해 「사회보장기본계획」과 「지역사회보장계획」간 사업 연계와 함께 지자체 사회보장사업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타 지자체의 정책 사례 소개를 통해 해당 정책 추진과정의 노하우를 공유하는 세션을 갖고 있다. 타 지자체의 사례를 통해 지자체 사회보장사업 담당 공무원들이 유사한 사업을 기획·설계할 때 시행착오를 줄이고 보다 체계적이고 지역특성에 적합한 완성도 높은 정책 집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번에는 부산시 부산진구에서 시행하는‘청년 전월세 중개보수 지원사업’에 대해 부산진구 토지정보과 김형준 부동산관리계장이 해당 사업의 기획 단계에서부터 사업 시행의 전반에 대한 과정과 사업 기획 노하우를 공유하였다. 

  이어서 초중고 입학·학습지원비 지원사업, 조부모 손주돌봄 등 영남권 지자체들이 시행 예정이거나 계획 중인 주요 사회보장사업의 실무자들과 복지부 전문위원들이 사전협의 현장 정책 협의를 진행해 보다 조속한 사업 시행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번 설명회에 이은 2025년도 마지막 권역별 설명회는 5월 말 호남권 공무원을 대상으로 전주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임혜성 사회보장위원회 사무국장은 “사회보장제도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중앙-지방 간 긴밀한 협력 관계가 필수적”이라며, “상반기 내 권역별 설명회를 마무리하여 중앙과 지방 공무원 간의 소통을 촉진하고,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는 기회를 늘려갈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붙임> 영남권 설명회 개요

첨부파일
  • hwpx 첨부파일 [보도참고자료]2025년 중앙-지방 사회보장제도 사전협의 영남권 설명회 개최.hwpx ( 484.69KB / 다운로드 200회 / 미리보기 90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 pdf 첨부파일 [보도참고자료]2025년 중앙-지방 사회보장제도 사전협의 영남권 설명회 개최.pdf ( 329KB / 다운로드 192회 / 미리보기 81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