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

전체

지속가능한 의료개혁을 위한 필수특화 분야 강화, 과잉 비급여 관리 등 추진

  • 작성일2025-05-22 16:43
  • 조회수4,678
  • 담당자윤동빈
  • 담당부서보험정책과

지속가능한 의료개혁을 위한 필수특화 분야 강화, 과잉 비급여 관리 등 추진
- 화상·수지접합·분만·소아·뇌혈관 등 필수특화 분야 24시간 진료 보상 강화 -
- 과잉 우려 큰 비급여에 대한 적정 관리체계 신설 -

 

  보건복지부는 5월 22일(목) 14시에 2025년 제10차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이하 ‘건정심’, 위원장 : 박민수 제2차관)를 개최하여 ▲필수특화 기능 강화 지원사업, ▲과잉 우려 큰 비급여에 대한 적정 관리체계 신설을 논의하였다.

건정심에서 논의된 각 안건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필수특화 기능 강화 지원사업 >

□ 화상, 수지접합, 분만, 소아, 뇌혈관 등 필수진료에 특화된 전문역량을 갖추고, 24시간 진료 등 필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기능에 대한 보상을 강화한다.

 ○ 지금까지는 특정질환에 대한 24시간 진료서비스를 제공하더라도 응급의료센터 등으로 지정받지 않은 경우에는 24시간 진료에 대한 보상이 없었다.

 ○ 앞으로는 필수진료에 특화된 전문성을 갖추고 24시간 진료 등 필수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필수특화기능에 합당한 보상을 받게된다.

   - 구체적으로 24시간 진료에 따른 지원금을 지원하고 24시간 진료 실적, 응급환자 전원 수용률, 상급종합병원, 포괄2차병원, 지역 병·의원 등과 진료협력 등 성과에 대한 지원도 시행될 예정이다.

 ○ 공급 감소 분야인 화상, 수지접합, 수요 감소 분야인 분만, 소아, 골든타임 내 치료가 필요한 뇌혈관을 대상으로 동 시범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고, 향후 필요분야를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화상, 수지접합 등 환자에게 꼭 필요한 의료를 적시에 공백없이 제공하기 위해 필수특화 기능에 대한 보상을 추진한다”라며 “상급종합병원, 포괄2차 병원과 연계한 지역완결적 의료체계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과잉 우려 큰 비급여에 대한 적정 관리체계 추진계획 >

□ 의료체계 왜곡 및 환자 안전에 문제를 야기시킬 우려가 있는 일부 과잉 비급여를 급여로 전환하여 가격 및 진료기준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 정부는 실손보험과 결합되어 의료적 필요도를 넘어 남용되는 비급여를 적정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됨에 따라,

   - 지난 3월 「비급여 적정관리 혁신방안(’25.3.19,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 과제)」을 통해 과잉 우려 큰 비급여에 대한 적정 관리체계 신설을 발표한 바 있다.

 ○ 그간 비급여는 시장 자율 영역으로 보았기에 일부 의료적 필요도를 넘어 반복 이용·공급되는 비급여의 가격·진료기준 등 적정 사용 여부에 대한 관리가 어려웠다.

  - 이에, 과잉 우려 큰 일부 비급여를 치료에 필수적인 일반적인 급여와 다르게 적정 이용 관리로 인한 사회적 편익을 고려하여 급여(관리급여)로 조정하여 가격, 급여기준을 설정하고 95%의 본인부담률을 적용한다.

□ 관리급여 대상 선정과 관리 절차는 다음과 같다.

 ○ 관리급여 대상은 비급여 보고제도* 및 상세내역 조사** 등을 통해 비급여 항목별 진료비·진료량 및 증가율, 가격 편차 등을 모니터링***하여,

     * 전체 의료기관 대상 연2회(당해년도 3,9월분 진료내역) 실시

    ** 표본 의료기관(’25년 2,274개소) 대상 연1회(직전년도 6,12월분 진료내역) 실시

   *** 진료비·진료량·단가·가격편차 등 상위항목, 진료비 증가율이 크거나 환자 안전 우려 항목 등

   - 의료계, 환자·수요자단체,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논의기구인 ‘비급여 관리 정책협의체’에서 치료 필수성, 사회적 편익, 재정적 부담 등을 종합적으로 논의하여 관리급여 항목을 선정한다.

 ○ ‘비급여 관리 정책협의체’에서 선정한 항목은 요양급여 관련 위원회의 평가 후 건정심을 통해 관리급여 대상 항목 및 가격, 급여기준을 최종 결정한다.

□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남용 우려가 큰 비급여에 대한 진료기준과 가격 설정으로 환자의 의료비 부담을 완화하고 적정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적정한 비급여 관리를 통해 과다한 보상을 방지하고 공정한 보상체계 확립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첨부파일
  • hwpx 첨부파일 [5.22.목.위원회 종료(별도안내)이후]지속가능한 의료개혁을 위한 필수특화 분야 강화, 과잉 비급여 관리 등 추진.hwpx ( 481.49KB / 다운로드 330회 / 미리보기 119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 pdf 첨부파일 [5.22.목.위원회 종료(별도안내)이후]지속가능한 의료개혁을 위한 필수특화 분야 강화, 과잉 비급여 관리 등 추진.pdf ( 220.53KB / 다운로드 357회 / 미리보기 121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