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

전체

전국의 하절기 방역활동 추진사항(5.31)

  • 작성일2000-05-31 16:00
  • 조회수9,691
  • 담당자공보관실
  • 담당부서공보관실
□ 세균성 이질의 집단 발병 현황 ㅇ 대구(부산, 거창등) - 발생일 : 5.16 - 설사환자 : 596명 - 확진환자 : 158명 - 입원환자 : 22명 - 기 타 : 종료됨 ㅇ 부산(제주 여행자) - 발생일 : 5.25 - 설사환자 : 291명 - 확진환자 : 6명 - 입원환자 : - - 기 타 : 종료됨 ㅇ 제주(남제주, 서귀포시, 제주시) - 발생일 : 5.15 - 설사환자 : - - 확진환자 : 319(289)명 - 입원환자 : 65(11)명 - 기 타 : 확진 30명 증가 ㅇ 경남 창원시 - 발생일 : 5.28 - 설사환자 : 41명 - 확진환자 : 22명 - 입원환자 : 23명 - 기 타 : 금일 첫보고 ㅇ 전남 고흥군 - 발생일 : 5.25 - 설사환자 : 13명 - 확진환자 : 5명 - 입원환자 : 1명 - 기 타 : 금일 첫보고 ※ ( )는 전날 환자수임 ○ 대구 기도원 이질 사례 - 환자발생이 없어 종료함 ○ 부산 동주대학생의 제주여행 후 이질 사례 - 행적 조사 결과 제주 남제주군의 남원읍 모 음식점을 이용한 것이 확인 되어 제주에서 감염된 것으로 판단(세균검사 결과 제주에서 유행하는 균과 일치) ○ 제주의 남원군 등의 이질 사례 - 학생, 유아원, 지역 주민에게서 접촉에 의한 감염으로 확산된 것으로 판단함 - 27일 이전 환자 가검물에서 금일 30명이 추가확인됨에 따라 환자 증가함 ○ 경남 창원 이질 사례 - 28일 경남 안남 초등학교의 다수학생이 발열, 설사를 호소하여 양호교사 가 신고함에 따라 역학조사 결과 금일 이질로 확인됨. ○ 전남 고흥군 이질 사례 - 25일 설사로 보건지소를 내원한 환자가 이질로 의심되어 역학조사 결과 13명의 유사 환자가 발견되었으며 현재 역학조사 중임 □ 장티푸스 집단발병 현황 ○ 부산지역 장티푸스환자 발생 사례 - '00. 5. 11 발생한 부산 컴퓨터 과학고등학교 학생 중 산발적으로 장티 푸스 의증을 보인 환자가 총 28명가 보고되었으나 총 4명만 장티푸스 로 확진되었으나 더 이상의 환자 발생이 없어 종료함 □ 집단설사 환자 발생 현황 ㅇ 대구 달서구 - 발 생 일 : 5.23 - 설사환자 : 249명 - 입원환자 : 없음 - 원 인 : 바이러스 조사중 ㅇ 인천 연수구 - 발 생 일 : 5.27 - 설사환자 : 364명 - 입원환자 : 없음 - 원 인 : 살모넬라식중독 ㅇ 경북 영주시 - 발 생 일 : 5.27 - 설사환자 : 36명 - 입원환자 : 없음 - 원 인 : 세균성식중독 의심(금일 첫보고) ○ 대구 달서구 성서 초등학교 집단 설사환자 - 22일경 공급된 학교급식(자체급식)이 장바이러스에 오염되어 설사환자 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며 더 이상 환자가 없어 종료하나 원인파악을 위한 조사는 계속 할 것임 ○ 인천 연수구 대건 고등학교 집단 설사 환자 - 26일경 공급된 학교급식(위탁급식) 중에 돈육이 살모넬라에 오염되어 환자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됨 ○ 경북 경주시 외동읍 입실 초등학교 집단 설사 환자 - 무더위로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사먹은 빙과류에 의하여 복통, 설사를 가진 다수의 환자가 신고되어 역학조사 중에 있음 □ 금일의 전국 시달 사항 ○ 전국 설사 환자 모니터 강화 및 신고·보고 철저 - 일부 지역(경남 창원, 제주도)에서 집단환자의 지연 보고 및 부정확한 보고가 있어 일선의료기관의 신고, 시·도의 보고에 만전을 기하도록 지시함 ○ 레지오넬라 예방관리 대책 시달함 - 냉각탑수 균검사(7.15일까지 결과 보고), 대형건물(병원 등)살균소독 및 청소 실시 홍보, 집단환자발생시 보고 및 검사의뢰 등 { 국립보건원 방역과 354-2722 }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