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알림

전체

심평원, DUR점검으로 ‘의약품 오·남용 540만 여건 예방’

  • 작성일2014-05-07 13:52
  • 조회수7,101
  • 담당자황인옥
  • 담당부서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평원, DUR점검으로 ‘ 의약품 오․남용 540만 여건 예방’

연 10억9천만 건, 처방․조제 실시간 의약품 사용 점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은 2013년 10억9천만 건의 처방전을 대상으로 의약품 안심서비스 (DUR : Drug Utilization Review) 점검을 통해 540만 여건의 부적절한 의약품 사용을 예방했다.

특히, 졸피뎀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마약류의약품은 차별화된 정보 및 효능군(최면진정제, 마약류진통제, 정신신경용제) 중복점검으로 18만6천 건의 중복 사용을 예방했다.

심평원의 DUR(의약품안심서비스)은 2010년 12월부터 단계적으로 확대하여 국내 모든 병․의원 (한방분야 제외) 및 약국을 대상으로 부적절한 의약품 사용을 예방하기 위해 처방․조제 시 실시간으로 점검하여 의․약사에게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지난해 의료기관에서 발행한 처방전 5억7천6백만 건과 약국에서 조제한 5억1천5백만 건을 DUR 이중 점검한 결과 총 의약품 수는 42억3천만 개, 처방전 1장당 의약품 수는 3.9개로 확인되었다.

DUR 점검 결과 금기의약품 등 안전정보를 제공한 처방전은 총 4천8백만 건으로 점검 요청한 처방전의 4.4%이며 이 중에서 처방전간(복용중인 약과 새로 처방할 약) 점검이 95.4%이다. 또한, 요양기관 종별 정보 제공률은 상급종합이 9.4% >보건기관 7.3% >종합병원 7.0% >병원 5.7% >치과병의원 5.0% >약국 4.2% >의원 4.0% 순이다.

이러한 DUR 정보 제공 결과 총 540만여 건의 처방이 변경되었으며, 이 같은 의약품 안전정보 확인을 통해 처방이 변경됨으로써 약화사고를 예방한 것이다.

그 결과 처방 변경률은 특정 연령대 사용 금기 의약품 76.5%, 임신부 금기의약품 51.3% 순이며, 처방 변경의 88.5%는 처방전간 비교 결과로, 병용금기 38.6%, 약효가 같은 의약품 중복 처방 21.0%, 동일 성분 의약품 중복 처방 16.7%로 나타났다.

특히, 안전 문제로 사용이 중지된 의약품의 경우 ‘ DUR알리미’ 를 개발․배포하여 1시간 이내 전국 의․약사의 처방․조제 컴퓨터 화면에 공지하고, DUR시스템에서 처방․조제할 수 없도록 차단하고 있다.

<정보제공 항목별 처방변경 현황 (2013년)> - 첨부파일 참조

DUR을 전면 시행한 지 3년이 되는 2013년 말을 기준으로 기준 누적 참여율 99.2%(68,803기관), 1개월간(‘ 13년 12월) 점검은 97.1%(67,290기관)의 참여율을 보이고 있다.

반면, 진료비 청구한 처방전수 대비한 점검된 처방전 수는 93.4%로 비급여 처방까지 감안했을 때 실제 점검률은 더 낮을 수 있다.

이를 볼 때 일부 기관에서는 점검을 하지 않거나, 하더라도 특정 처방에 대한 점검을 누락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일부 처방이 DUR 미점검 될 경우 환자별 투약정보 누락으로 안전 점검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앞으로도 심평원은 국민의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위해 미점검 기관 또는 실시간 점검하지 않고 처방․조제 이후 점검하는 기관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유선 및 방문 기술지원 등을 통해 DUR 참여를 독려할 계획이다. 또한, 사유 자동완성 기능 제공 등 사용자 편의성 제고 및 1일 최대투여량 점검과 같은 의약품 안전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대함으로써 DUR 점검 효과를 높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첨부파일
  • hwp 첨부파일 [5.8.목.조간] 심평원 DUR점검으로 ‘의약품 오 남용 540만 여건 예방’(수정).hwp ( 89KB / 다운로드 4573회 / 미리보기 70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