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

보도설명

[보도설명자료][2.25.화.SBS] 서울 외상센터마저 마취 못 해 응급수술 불가 관련

  • 작성일2025-02-26 18:12
  • 조회수5,345
  • 담당자박혜원
  • 담당부서재난의료정책과

서울 외상센터 마취 못해 응급수술 불가하다는 보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합니다.

1. 기사 주요내용

□ SBS는 2.25일 기사, “서울 외상센터마저... 마취 못 해 응급수술 불가”에서 국립중앙의료원 산하 서울권역외상센터가 마취과 의료진이 부족해 응급수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

2. 설명내용

< 서울권역외상센터 진료 관련 현황 >

 ○ 보건복지부는 중증외상 환자에 대한 전문치료를 강화하고자 2023년 7월 국립중앙의료원을 서울권역외상센터 운영기관으로 지정하였습니다.

   - 이후 국립중앙의료원은 외상센터 전담 마취통증의학과 의사는 별도로 두지 않고*, 본원 소속의 마취통증의학과 의사 6명이 외상센터에 지원근무를 해오고 있습니다.

    *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는 권역외상센터 업무 외 병원 내 해당과의 전문의 업무 병행 가능(응급의료법 시행규칙 별표7의2 권역외상센터의 요건과 지정기준)

 ○ 최근 국립중앙의료원 소속 마취통증의학과 의사들이 병원 측에 당직 근무가 어렵다는 입장을 표명하여 서울권역외상센터의 야간·휴일 외상환자 수술에 일부 어려움이 발생하였으나, 

   - 이는 해당 의사들의 당직 미실시에 의한 것이며 마취통증의학과 의사 부재로 인한 것은 아닙니다.

 ○ 국립중앙의료원은 신속한 진료 정상화를 위해 마취통증의학과 의사들과 근무여건 협의 및 면담 등 자체적인 노력을 취하고 있으며, 

   - 서울권역외상센터에서 마취를 전담할 전문의에 대한 신규 채용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 그간 정부의 중증외상 등 지원 노력 >

 ○ 정부는 중증 외상환자에 대한 진료체계 강화를 위해 ’25년 예산을 ’24년 대비 약 86억원 증가*한 약 664억원을 반영하였으며,

     * 권역외상센터 전문의 인건비 상승(1인당 144→160백만원, 총 210명 지원, +34억원), 권역외상센터 노후장비 교체지원(+33억원) 등

 ○ 지난해 8월 30일 「의료개혁 1차 실행방안」을 통해 생명과 직결된 중증수술과 이에 필수적인 마취 수가를 인상*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중증수술·마취 800여개(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참여병원, ‘24.하반기~) 

       → 1천개 중증수술·마취행위(종합병원급 이상, ’25.상반기~)

< 향후 계획 >

 ○ 정부는 국립중앙의료원이 신속히 정상 진료체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체 노력을 강화하도록 하는 한편,

   - 서울특별시에서 기 운영 중인 서울형 중증외상 최종치료센터 4개소* 간 협력체계를 통해 중증외상환자 진료**에 최대한 차질이 없도록 하겠습니다.

     * 국립중앙의료원(권역외상센터 병행), 서울대병원, 고대구로병원, 고대안암병원을 서울특별시에서 서울형 중증외상 최종치료센터로 지정·운영(‘21.3.~)

    ** ’23년 기준 외상 내원환자 총 4,888명 중 국립중앙의료원 928명으로 분담률은 19% 수준

 ○ 아울러, 금년 증액된 중증외상센터 지원 예산을 차질 없이 집행하고, 외상·마취 등 필수분야 의료인력의 근무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첨부파일
  • hwpx 첨부파일 [보도설명자료][2.25.화.SBS] 서울 외상센터마저 마취 못 해 응급수술 불가 관련.hwpx ( 474.98KB / 다운로드 149회 / 미리보기 129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 pdf 첨부파일 [보도설명자료][2.25.화.SBS] 서울 외상센터마저 마취 못 해 응급수술 불가 관련.pdf ( 198.75KB / 다운로드 188회 / 미리보기 128회 ) 다운로드 미리보기/음성듣기
공공누리 제1유형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의 제1유형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데이터는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보건복지부가 저작권 전부를 갖고 있지 아니하므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