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정책목표/추진전략
맞춤형 지원으로 장애인의 자유롭고 평등한 삶을 실현하는 행복사회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해소와 삶의 질 향상
-
약자복지
취약계층인 장애인에 대해 더욱 두텁게 지원
-
사회서비스 고도화
수요자 욕구에 기반한 맞춤형 통합서비스 지원
-
글로벌 스탠다드
전 생활영역에서의 장애인의 권리보장 확대
9대 정책분야
30대 중점과제
83개 세부추진과제
1 장애인 맞춤형 통합지원 및 자립·주거결정권 강화
- 지역사회 장애인 생활지원 강화
- 발달장애인 평생돌봄 지원체계 마련
- 장애인 자립 및 주거 자기결정권 강화
- 장애인 서비스 제공 기반 고도화
2 지역사회 기반 장애인 보건 의료체계 강화
- 장애인 맞춤형 보건의료 지원체계 확립
- 장애인 보건의료사업 고도화
- 혁신기술 기반 장애인 헬스케어 활성화
3 생애단계별 맞춤형 교육 지원체계 고도화
- 장애 조기발견 및 영유아 교육지원 강화
- 장애학생 맞춤형 특수교육 지원 강화
- 장애인 고등·평생교육 기회 확대
4 소득보장제도 강화 및 장애인 고용지원 확대
- 장애인 소득보장 확대 및 제도 선진화
- 취업 지원 및 고용안정·직업훈련 확대
- 장애인 벤처·중소기업 지원
5 장애인의 일상생활 속 체육·관광 여가 확대
- 장애인 체육 이용환경 지원 확대
- 장애인 관광 향유 증진 기반 확충
6 장애인의 문화예술 향유 및 디지털·미디어 참여 확대
- 장애인 문화예술 접근성 제고
- 장애예술활동 지원 강화
- ICT기반 정보격차 해소·사회참여 확대
- 미디어 접근권 보장 강화
7 장애인 이동 및 시설 접근, 재난안전 보장 강화
- 장애인 교통수단 확대 및 이동 보장
- 일상생활 위한 장애인 편의시설 확대
- 장애인 재난안전 대응체계 강화
8 장애인의 사회참여 및 권리 보장 강화
- 장애인학대 예방 및 권리옹호 강화
- 정신장애인 사회참여 및 권익증진 지원
- 여성장애인 지원 확대 및 차별 해소
- 장애인정책 국제협력 강화
9 장애인 정책 추진기반 강화
- 장애 개념 확대
- 장애인 정책조정 거버넌스 강화
- 장애인 보건복지 전달체계 개편
- 장애인권리보장원 설치